<중국 치장: 송나라 날씨, 송나라 의복> 줘치우멍(좌구맹)/모춘(말춘)
中国妆束:宋时天气宋时衣 - 左丘萌/末春
송나라 시대의 여러 시와 사, 소품 형식 소설을 주요 텍스트 단서로 삼고 출토된 문화재와 대조하여 착용한 옷(복장), 머리에 쓰던 관, 빗과 비녀, 팔찌(장신구), 목욕과 치장(화장/헤어스타일) 등 3가지 테마로 당시의 미용 변천사를 구체적인 스타일과 배합으로 자세히 알아본다. 화예부인, 이청조, 이사사, 백낭자, 소청, 엄예 등 중국인들에게 잘 알려진 역사 인물을 예시로 들고 있다. 현존하는 참고 문헌에 근거하여 당시 각 인물의 치장, 옷, 장식, 헤어스타일, 화장 방식을 고증한다.
책 후반부에 포함된 1m 길이의 부록에는 송나라 여성들의 옷 입는 순서와 화장 단계, 그리고 송나라 300여 년간의 패션 변천사가 들어있다. 또한 안후이성 난링현의 철괴송묘와 다원송묘에서 출토된 의복과 장신구의 실물 디자인에 기반하여 제작한 의상 및 장신구 스티커로 북송과 남송의 고전 스타일링을 표현해 볼 수 있다.
尝试以宋时诸家诗词、笔记小说记载为核心文本线索,对照出土文物,以穿用衣物(服装)、冠梳钗钏(首饰)、梳洗打扮(妆发)三个篇章,分别探寻了解当时佳人妆束流变的具体模样与组合搭配。选取大家熟悉的历史人物:花蕊夫人、李清照、李师师、白娘子、小青、严蕊……依据现有的考古成果加以 适当推测,设计各个人物当时可能妆束,服装、首饰、发型、妆面、场景均有据可考。
书后附一米长卷,梳理宋朝女子的穿衣顺序、化妆步骤,及宋朝三百余年时尚变迁。附赠一套服饰贴纸,参考安徽南陵铁拐宋墓、茶园山宋墓出土服饰实物设计制作,展现北宋、南宋的经典穿搭。
출처: https://book.douban.com/subject/36544421/?icn=index-latestbook-subject